웹 표준 와이드 웹(WWW) 과거와 미래
'웹 표준 준수"는 IT 전문가뿐만 아니라 일반 사용자들도 종종 듣게 되는 중요한 개념입니다. IE의 퇴출 같은 변화는 이런 표준의 중요성을 더 강조하고 있습니다. 웹 표준을 지키지 않는 웹사이트를 방문하면, 마치 '인터넷의 타임머신'을 타고 플래시 애니메이션과 팝업 창이 가득한 90년대로 돌아간 기분이죠.
이제는 단순한 기술적 요구사항이 아니라, 기본 기술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.
웹 표준은 여러 국제 기구와 단체
- W3C (World Wide Web Consortium)
웹 표준을 개발하고 유지하는 주요 기구로, HTML, CSS, XML 등의 표준을 정의.- 공식 웹사이트: W3C
- 주요 문서: W3C 표준 문서
- 소속 국가: 미국, 유럽, 일본, 중국
- 위치: 미국 매사추세츠주 케임브리지 (MIT), 프랑스 소피아 앙티폴리스 (ERCIM), 일본 요코하마 (Keio University), 중국 베이징 (Beihang University).
- 지원 기업 및 국가: W3C는 다양한 글로벌 기업과 정부 기관의 지원을 받습니다. 주요 회원사로는 Microsoft, Google, Apple, IBM 등이 있습니다.
- 예산 규모: W3C의 예산은 주로 회원사들의 회비와 프로젝트 지원금으로 구성됩니다. 정확한 예산 규모는 공개되지 않았지만, 주요 프로젝트와 연구 활동에 상당한 자금이 투입됩니다
- IETF (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)
인터넷 표준을 개발하는 기구로, 다양한 인터넷 프로토콜과 관련된 표준을 정의.
- ISO (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)
국제 표준을 개발하는 기구로, 웹과 관련된 여러 표준을 정의합니다 - Ecma International
정보통신 기술 표준을 개발하는 기구로, ECMAScript(일반적으로 JavaScript로 알려짐) 표준을 정의.
- 공식 웹사이트: Ecma International
- 주요 문서: Ecma 표준 문서
- 소속 국가: 스위스
- 위치: 스위스 제네바
- 지원 기업 및 국가: Ecma International은 정보통신 기술 표준을 개발하는 기구로, 주요 회원사로는 Microsoft, IBM, HP 등이 있습니다
- 예산 규모: Ecma의 예산은 회원사들의 회비와 프로젝트 지원금으로 구성됩니다. 정확한 예산 규모는 공개되지 않았습니다.
- Unicode Consortium
유니코드 표준을 개발하고 유지하는 기구로, 전 세계의 문자와 기호를 포함하는 표준을 정의.
- 공식 웹사이트: Unicode Consortium
- 주요 문서: Unicode 표준 문서
- 소속 국가: 미국
- 위치: 미국 캘리포니아주 마운틴 뷰
- 지원 기업 및 국가: Unicode Consortium은 문자와 기호의 표준화를 담당하는 기구로, 주요 회원사로는 Google, Apple, Microsoft 등이 있습니다
- 예산 규모: Unicode Consortium의 예산은 회원사들의 회비와 프로젝트 지원금으로 구성됩니다. 연간 예산은 수백만 달러 규모로 추정됩니다
웹 표준의 변화
1990년대
- 1993년: HTML 1.0 발표 - 웹 페이지의 기본 구조를 정의.
- 1994년: W3C (World Wide Web Consortium) 설립 - 웹 표준을 개발하고 유지하는 기구.
- 1995년: HTML 2.0 발표 - 더 많은 기능과 태그 추가.
- 1996년: CSS 1.0 발표 - 웹 페이지의 스타일과 레이아웃 정의.
- 1997년: HTML 3.2 발표 - 더 복잡한 레이아웃과 기능 지원.
- 1998년: XML 1.0 발표 - 데이터 전송 및 저장을 위한 표준.
- 1999년: HTML 4.01 발표 - 웹 페이지의 구조와 표현을 분리.
2000년대
- 2000년: XHTML 1.0 발표 - HTML을 XML로 재작성한 버전.
- 2001년: SVG 1.0 발표 - 벡터 그래픽을 위한 표준.
- 2002년: DOM Level 2 발표 - 문서 객체 모델의 확장.
- 2003년: CSS 2.1 발표 - 스타일시트의 기능 확장.
- 2004년: RSS 2.0 발표 - 웹 콘텐츠의 배포를 위한 표준.
- 2005년: AJAX 기술의 등장 - 비동기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가능.
- 2006년: WAI-ARIA 1.0 발표 - 웹 접근성 향상.
- 2007년: HTML5 초안 발표 - 멀티미디어 지원 강화.
- 2008년: CSS3 모듈화 시작 - 더 복잡한 스타일링 가능.
- 2009년: Web Workers 표준화 - 백그라운드 스크립트 실행 지원.
2010년대
- 2010년: HTML5와 CSS3 공식 발표 - 웹의 멀티미디어와 스타일링 강화.
- 2011년: WebSockets 표준화 - 실시간 통신 지원.
- 2012년: WebRTC 표준화 - 브라우저 간 실시간 통신 지원.
- 2013년: ECMAScript 6 (ES6) 발표 - JavaScript의 기능 확장.
- 2014년: Service Workers 표준화 - 오프라인 웹 애플리케이션 지원.
- 2015년: HTTP/2 표준화 - 웹 성능 향상.
- 2016년: Progressive Web Apps (PWA) 개념 도입 - 네이티브 앱과 유사한 웹 애플리케이션.
- 2017년: CSS Grid Layout 표준화 - 복잡한 레이아웃 지원.
- 2018년: WebAssembly 표준화 - 고성능 웹 애플리케이션 지원.
- 2019년: WebAuthn 표준화 - 웹 인증 강화.
2020년대
- 2020년: WebXR 표준화 - 가상 및 증강 현실 지원.
- 2021년: HTTP/3 표준화 - 더 빠른 웹 성능.
- 2022년: WebGPU 표준화 - 고성능 그래픽 렌더링 지원.
- 2023년: WebTransport 표준화 - 저지연 데이터 전송 지원.
- 2024년: Web Neural Network API 개발 중 - 웹에서의 머신러닝 지원.
1990년대
- 1990: 팀 버너스 리(Tim Berners-Lee)가 CERN에서 월드 와이드 웹(WWW)을 개발. HTML, HTTP, 그리고 첫 번째 웹 브라우저(WorldWideWeb)가 탄생.
- 1991: 최초의 웹사이트가 공개되어 정보를 대중적으로 공유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.
- 1992: 첫 번째 웹 서버가 CERN 외부로 설치됨. 웹이 점차 확산.
- 1993: 최초의 그래픽 웹 브라우저 "Mosaic"이 개발되어 대중화의 전환점이 됨.
- 1994: W3C(World Wide Web Consortium) 설립. 웹 표준의 기틀 마련.
- 1995: JavaScript, PHP, 그리고 Java Applets가 도입. 인터넷 익스플로러(IE) 출시.
- 1996: CSS (Cascading Style Sheets) 표준화. 웹 디자인이 보다 정교해짐.
- 1997: HTML 4.0 표준 발표. 웹에서의 멀티미디어와 인터랙션 가능성이 확대.
- 1998: XML (eXtensible Markup Language) 표준화. 데이터 교환 효율성이 증가.
- 1999: HTML 4.01 및 CSS Level 2 발표. 접근성과 웹 디자인이 더욱 강화.
2000년대
- 2000: XHTML 1.0 도입. HTML과 XML의 결합을 목표로 함.
- 2001: Semantic Web 비전 발표. 메타데이터와 데이터 상호 운용성을 강조.
- 2002: 웹 서비스 표준화(WSDL, SOAP 등). 기업 간 데이터 통신 활성화.
- 2003: RSS(Rich Site Summary) 보급. 콘텐츠 배포 방식의 변화.
- 2004: Web 2.0 개념 확산. 사용자 생성 콘텐츠 및 소셜 미디어 활성화.
- 2005: AJAX 도입. 동적인 웹 애플리케이션 제작 가능.
- 2006: HTML5 초안 발표. 리치 미디어 및 동적 콘텐츠 지원 확대.
- 2007: 모바일 웹의 대두. 아이폰 출시와 함께 모바일 중심 웹 사용 증가.
- 2008: 구글 크롬 브라우저 출시. 빠르고 효율적인 웹 브라우징 가능.
- 2009: HTML5 작업이 본격적으로 진행. 동영상과 캔버스 API 등이 포함.
2010년대
- 2010: CSS3 표준화 작업 진행. 반응형 웹 디자인 활성화.
- 2011: WebSocket 표준화. 실시간 웹 애플리케이션 구현 용이.
- 2012: HTML5와 CSS3 권고안 확정. 현대 웹의 기반 마련.
- 2013: WebRTC 도입. 브라우저 간 직접 통신 가능.
- 2014: HTTP/2 표준화. 웹 성능 대폭 향상.
- 2015: ES6(ECMAScript 2015) 발표. JavaScript의 기능 대폭 개선.
- 2016: Progressive Web Apps(PWAs) 개념 확산. 네이티브 앱과 유사한 웹 경험 제공.
- 2017: WebAssembly 표준화. 고성능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가능.
- 2018: GDPR 시행. 개인정보 보호와 관련된 웹 규정 강화.
- 2019: HTTP/3와 QUIC 프로토콜 발표. 더 빠르고 안정적인 웹 통신.
2020년대
- 2020: Web Vitals 도입. 사용자 경험 중심의 웹 성능 측정 도구.
- 2021: 플래시(Flash) 공식 종료. HTML5의 리치 미디어 기능이 플래시를 대체.
- 2022: FLoC(Federated Learning of Cohorts) 논의 시작. 웹 브라우저의 개인 정보 보호 개선 시도.
- 2023: AI 기반 웹 경험 확산. ChatGPT와 같은 AI 도구가 웹과 통합.
- 2024: Web3와 탈중앙화 웹(Decentralized Web)의 실질적 발전 기대.